'하루 1생각'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루 1생각5

꼬리를 무는 질문 차트를 보려면 그 차트가 만등ㄹ어진 재료를 알아야 하고 재료를 알려면 시황도 알아야 하고, 시황을 보고 나면 그 종목이 대장주인지도 봐야 합니다. 하나만 알고 끝내서는 안 됩니다.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질문을 계속 채워나가야 합니다. - 유목민, 365 원칙을 세우다 Q. 하나에서 끝나지 않고 이어지는 내용들을 계속 공부하고 있나요? 시황에 대해 매일 정리하려 노력하고, 정리한 내용에 대해서 다음날 다시 한번 정리하는 공부는 하고 있다. 지금은 어떤 종목이 어떤 재료에서 움직이는지, 대장주는 무엇인지. 그정도만 파악하는데 그치고 있고, 공시를 살펴보는 정도까지는 못하고 있다. 하나씩 조금씩 늘려갈 예정이다. 지금은 시장에 대한 이해도와 연결도를 그려보는게 먼저다. 위 글과 질문은 모두 [유목민, 365 .. 2023. 12. 12.
새 시대의 주인 지금까지 세상은 답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더 좋은 답을 찾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죠. 그런데 이제 질문을 잘해야 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고, 여기에 빨리 적응하는 사람만이 새 시대의 주인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유목민, 365 원칙을 세우다 Q. 오늘의 질문은 스스로 정해보세요. 스스로에게 어떤 질문을 할 건가요? 그리고 그 질문에 답도 내려보세요. [질문] 앞으로 적어도 10년 동안은 매일 적게는 3시간, 많게는 6시간씩 경제동향을 파악하고, 매일매일 힘든 나날들을 보내게 될텐데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겠어? [답] 당연히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날은 출장이 있을수도 있고, 어떤 날은 일이 있어 하지 못하는 날도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적어도, 내가 의지가 약해져서.. 2023. 12. 4.
바꿀 수 없는 것 인생을 살면서 바꿀 수 없는 것과 싸우지 마세요. '집안이 안받쳐줘서', '머리가 안 좋아서' 이런 것들은 바꿀 수 없잖아요. 바꿀 수 있는 것들을 바꿔나가면서 싸워야 합니다. 인생은 길잖아요. 호흡을 길게 가져가야 합니다. - 유목민, 365 원칙을 세우다 Q. 당신에게 바꿀 수 없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그 조건을 받아들이고 발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는 회사원이기 때문에 출장가는 날과 근무시간을 바꿀 수 없다. 그렇기에 출장가면서 이동하는 순간들에는 이동 외엔 할 수 없고, 근무 중에는 다른 무언가를 할 수 없다. 이동하는 순간들에는 그렇다면 이동하기 전에, 어떤 것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고 머릿속을 정리할지 정하면 되지 않을까. 근무중에는 다른 무언가를 할 수 없으니까, 근무시간 전이나 근무시.. 2023. 12. 1.
보려는 노력 내가 안 보는 건지, 안 보려고 하는 건지, 못 보는 건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못 보는건 그냥 보려고 노력하면 되는데 일부러 안 보려고 하면 발전하지 않습니다. - 유목민, 365 원칙을 세우다 Q. 본인의 생각이 다 옳다고 생각하는 편인가요? 다른 사람들은 당신을 어떻게 평가하나요? 다른사람들은 나를 '성실한 사람', '일 잘하는 사람'으로 평가해준다. 사실 전혀 그렇지 않은데.... 그저 인상이 선하고, 할 일은 어쨌든 시간내에 마치기는 하니까 그런가보다. 나를 잘 돌아보면, 나는 우기기 좋아하고 내 주장과 맞지 않는데 만약 그 부분이 이해되지 않는다면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다. 내 생각이 전부 옳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상대방이 하는 주장이 논리적이고 내가 반박할 수 없다면 상대방의 .. 2023. 11. 29.
아는 만큼 원래 모든 지식은 자신이 아는 만큼 보이고 자기가 아는 만큼 받아들여집니다. 이걸 빨리 알아채야 활기찬 인생을 살아갈 수 있어요. 자기랑 안 맞는다고 다른 걸 또 찾아다니면 여전히 실력은 늘지 않은 채 끝없이 자신만의 시간에서 유랑하게 됩니다. - 유목민, 365 원칙을 세우다 Q. 새로운 일을 배우다가 금방 그만두는 편인가요? 왜 끝까지 해내지 못했을까요? 무언가를 새로 시작하게되면 2-3개월 정도는 열심히 하는 편인 것 같다. 하지만 그 기간이 지나가면 그 일을 지겨워하고, 귀찮아하게 된다. 아마도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보고 싶어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어느정도가 잘하는 수준인지, 어느정도에 만족을 해야하는지도 나는 잘 모른다. 만족하기 위한 수준이 굉장히 높은 것 같다. 또 한가지. 예전에 의.. 2023. 1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