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2023'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ES20236

오늘의 주요 뉴스(23년 1월 13일,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고용지표, 인공지능, 국가전략기술, 초근원 CPI 등) 잘들 주무셨나요?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아침입니다. 어제는 긴장 속에 잠을 잘 못 드는 시간들이었는데, 우려에 비해 괜찮았던 것 같습니다. 어제 22시 30분, 미국의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YoY 기준으로는 예상치인 6.5%에 부합했는데, 지난달 결과가 7.1%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물가 상승률은 꺾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MoM 기준으로는 -0.1%가 나오면서 경기침체에 돌입하는 것이 아니냐 혹은 '디플레이션'에 들어가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을 걱정하기에는 아직 이르지만 또 걱정한다는 뉴스들이 많이 나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상세 항목별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에너지 가격 하락세 지속. - 중고차 및 신차 가격 하락. - 의료서비스 가격은 소폭 상승. .. 2023. 1. 13.
오늘의 국내증시 시황과 분석(2023년 1월 9일)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해제, 감기약 품귀, 한한령 해제 소식 등에 잇달아 상승세를 보이던 제약업종, 콘텐츠 관련 업종 등이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이번 CES2023과 관련된 종목들이 많은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오전에는 인터넷, 스마트카, 음성인식, 지능형 로봇, 스마트 팩토리, 자율주행차 등이 강했고 오후에도 인공지능이나 로봇, 인터넷 관련 기업의 주가가 강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상승 종목 세부내용 휴림로봇(090710)✅ - 거래량 : 8,771만. 시가 : 1,825원. 고가 : 2,285원. 저가 : 1,800원. 종가 : 2,275원 - 저항라인 : 2,385원 ► 2,680원 ► 2,900원 - CES 2023의 여파가 아주 대단합니다. - 삼성전자가 연내 로봇 신제품의 출시를 발표하여 - 로.. 2023. 1. 9.
오늘의 국내증시 시황과 분석(2023년 1월 6일) 국내증시 전반적 시황 금일은 미세먼지가 가득한 날이었습니다. 날씨는 따뜻했지만 목은 컬컬한 날이었네요. 국내증시는 전반적으로 상승세였습니다. 건설, 헬스케어, 은행, 자동차 부품 분야가 강세였고 AI, 클라우드 분야도 강했습니다. 섬유/의류/신발 업종, 방송/엔터, 출판 등 취미류 등은 약세였습니다. 경기침체가 우려되기 시작하면서 생활 소비 지출 분야에 대한 우려가 기업들의 주가에도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경기침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미국 정부와 연방준비제도가 많은 노력을 해주길 바랍니다. 상한가 세부내용 카이노스메드(284620)💯 - 거래량 : 658만. 시가 : 4,425원. 고가 : 5,780원. 저가 : 4,345원. 종가 : 5,780원 - 저항라인 : 4,720원 ► 5,480원 ► 6,3.. 2023. 1. 6.
오늘의 국내 증시 시황과 분석(2023년 1월 5일) 전반적인 국내증시 전일 뉴욕 증시의 상승으로 인해 우리나라도 힘 있는 출발을 보였으나, 어제의 반등으로 인한 차익매물도 많이 나오는 모습이었습니다. 금융 업종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유지 소식에 강세를 보였으며, 국토교통부가 부동산 규제정책을 완화함으로 인해 대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카카오뱅크 등 금융주도 힘을 얻었습니다. 중국의 빅테크 규제 완화 소식도 영향이 있었습니다. 이에 알리바바, 바이두 등이 상승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네이버, 카카오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상한가 세부내용 희림(037440)✅ - 거래량 : 960만. 시가 : 8,170원. 고가 : 10,700원. 저가 : 8,050원. 종가 : 10,700원 - 저항라인 : 10,690원 ► 11,450원 ► 12,290원 ►.. 2023. 1. 5.
오늘의 주요 뉴스(2023년 1월 5일) 오늘은 아침에 일이 많아서 뉴스 정리를 못했습니다. 정기적이고 규칙적으로 올리려 했으나 그러지 못한 점 죄송하게 생각하고 반성합니다. 제 블로그는 뉴스와 경제, 증권시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오늘의 딱 한마디는 이겁니다. "FED(연방준비제도)를 이기려 하지 마라" 김밥가격도 올랐다. 대표적인 서민식품인 김밥 가격도 3,100원으로 올랐습니다. 자장면은 13.8%가 올라 6,569원이 되었고 그 외에도 삼겹살, 칼국수, 비빔밥 등 많은 일반 음식들의 가격이 급상승 했습니다.소비자물가도 1998년 이후 최고 수치로 상승했습니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정책이 경제에 반영되기 위해선 6개월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니, 우리가 체감하는 것은 여름즈음이나 되어야 할 수 있을 것 같습.. 2023. 1. 5.
오늘의 주요 뉴스(2022년 1월 3일 아침) 새해에도 횡보세 지속 중인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올해에도 횡보권입니다. 지난주에도 2,100만 원이었는데 오늘도 2,100만 원입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 자산들이 아직 실체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가치를 평가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5년 정도 후에는 가상화폐의 가치가 인정되는 날이 올까 싶습니다. 부동산 규제지역 대거 해제 앞으로 정부가 부동산 규제지역을 해제하여 강남 3구와 용산 정도만 규제될 것 같습니다.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될 경우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이 줄고 주택담보대출도 조금 더 수월해집니다. 아직도 아파트가격이 비싸다는 소리가 있습니다. 정부가 취득세를 면제해준다는 말이 나와야 진정한 바닥이라는 말도 있으니 부동산 투자도 매우 신중하게 하시길 바랍니다. 달러강세 하락 달러인덱스는 103까지 하락했.. 2023.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