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비자물가지수3

오늘도 역시 인공지능, 엔비디아 수혜주(2023년 2월 24일 국내증시) 2023년 1월 미국의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가 발표됨. YoY 예상치는 5.0%였으나 실제 5.4%가 나오며 2024.2.24 22:35 현재 나스닥 선물은 -0.91%, 에센피 선물 -0.71%, 다우 선물 -0.67% 기록. 하지만 이는 시장에서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던 수치이며, 조정을 피해 갈 순 없겠지만 당장 오늘 큰 하락은 없을 것. 2023.2.24 국내증시는 AI, 2차전지 등 최근 강했던 섹터가 계속 강했음 장 중 외국인이 잠시 빠져나갔을 때가 있는데, 인공지능 섹터가 당시 잠시 빠지는 듯하더니 일부 회복함. [코스피]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각 3,023억 원, 974억 원). 개인은 3,646억 원 순매수. 보험, 전기가스 강세 [코스닥] -0.56%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매도세(각.. 2023. 2. 24.
미국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PCE)와 소비자물가지수(CPI) 인플레이션 측정의 척도 미국에서 인플레이션 측정을 위해 이용되는 대표적인 물가지수로는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와 개인소비지출가격지수(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rice Index, PCE)가 있습니다. CPI의 경우 가정 내외에서의 식재료값, 음식값, 에너지 값, 중고차 가격, 주거비 등을 기반으로 물가지수를 산출하며, PCE의 경우 그 산출 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PCE는 개인소비지출로 분류된 상품(서비스를 포함합니다)의 평균적인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개인소비에는 미국인들을 위해 일하는 비영리단체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를 이야기합니다. 여기에는 의료비, 의료보험 등 실질적으로 소비자가 지출하지 않는 부문에.. 2022. 12. 24.
미국 시황 분석 및 23년 미국증시 예측(2022년 12월 22일) 전일 미국 증시는 반등에 힘이 실린 모습이었습니다. 미국의 소비/배송 관련 종목인 나이키와 페덱스의 양호한 실적이 있었고, 미국의 12월 소비자신뢰지수가 크게 반등하며 여기에 힘을 더 보태주었습니다. 주택착공건수는 예상치를 상회했고, 건설의 첫 단추를 의미하는 공급지표인 건축승인건수는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미국의 소비는 아직 강력하다는 의미도 있지만 건축승인건수가 하회함을 나타냄으로써 소비자물가지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거비가 하락하여 연준이 금리 상승 속도를 조절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에 반등을 한 것이 아닐까 예상됩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이키의 실적] 나이키가 실적의 최악 시즌을 지났다는 CEO의 긍정적인 발언이 반등을 꾀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이번 블랙프라이데이와 연휴기간에 할인.. 2022. 12. 22.
반응형